정보 및 줄거리
조선시대 연산조. 왕과 광대들의 비극적인 열망을 그린 시대극이다. 2005년 시대극연출의 대가 이준익 감독의 작품으로 1,230만 명의 관객동원을 이뤄낸 흥행작이다. 영화에서는 세 남자의 관계가 주를 이룬다. 연산은 처음에 웬만한 여인보다 더 아름다운 공길을 보며 처음에는 여인 흉내를 내는 그에게 관심을 갖지만 그와 점점 관계가 깊어져 갈수록 죽임을 당한자신의 어머니 폐비 윤 씨를 생각하며 그에게 이입한다. 역사에서 알 수 있듯 연산군은 폭군으로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사연이 더욱 연산을 입체적인 캐릭터로 만들어주었다. 특히 정진영 배우의 폭군과 천진난만함을 교차하는 신들린 연기가 그를 온전히 미워할 수만은 없는 캐릭터로 만들었다. 연산의 천진난만함과 광기가 시한폭탄처럼 교차하는 탓에 보는 내내 관객들을 조마조마하게 했다. 양반들에게 공길을 보내 돈을 벌려는 광대패의 우두머리를 피해 달아나다 공길이 그를 죽이게 되고, 힘 있는 양반들에게 농락당하던 광대 장생과 공길은 한양으로 오면서 연산과 녹수를 풍자하는 놀이판을 성공적으로 선보인다. 그러나 그들은 왕을 희롱한 죄로 의금부에 잡히게 되고, 의금부에서 극도의 긴장 속에서도 장생은 왕을 웃겨 보이겠다고 호언장담하지만, 공연을 시작하자 광대들은 모두 얼어붙는다. 그런데 공길이 특유의 앙칼진 연기를 선보이자 왕은 크게 웃으며 호응합니다. 왕은 궁내에 광대들을 위한 희락원을 마련하고, 먹을 것을 주며 파격적인 대우를 하게 되고, 광대들은 탐관오리의 비리를 풍자하는 공연을 연기하며 왕을 즐겁게 한다. 왕은 신비로운 공길의 모습에 마음을 빼앗겨 공길을 따로 불러 자신의 외로움과 정신적인 위안을 받으려 한다. 하지만 중신들의 분위기가 싸늘해지자 왕은 중신들 중 한 명도 웃지 않는다는 이유로 탐관오리라는 명목하에 형벌을 내리고 연회장은 긴장으로 가득 차게 된다. 연이은 연회에서 광대들은 여인들의 암투로 인해 왕이 후궁에게 사약을 내리는 경극을 연기하고, 연산은 왕에게 사약을 받았던 생모 폐비 윤 씨를 상기하여 선왕의 여자들을 칼로 베어 죽입니다. 장생은 궁이 피바다로 변한 것에 실망하여 궁은 떠나려고 한다. 하지만 공길은 이유를 밝히지 않고 남겠다고 한다. 반면 왕에게 반발한 중신들은 광대를 쫓기 위해 음모를 꾸미고, 왕의 관심을 빼앗겼다는 질투심에 휩싸인 녹수 역시 은밀한 계략을 꾸미게 된다. 이 영화에서 표현되고 있는 한국적인 정서 '한의 정서'를 절제감 있게 표현되어 마음 뭉클하게 해 준다. 공길과 장생이 사랑하는 방법은 무조건적으로 주는 사랑인데 연산은 평생 가져보지 못한 그런 사랑을 질투하고, 공길을 좋아하는 것만큼 공길이 똑같이 좋아해 주지 않자 자신을 도발하고 조롱하는 장생의 눈을 지져 맹인으로 만든다. 연산을 앞에 두고 마지막 인형극을 시작하는 장생과 공길은 지난날의 일들을 되뇐다. 장생이 없었더라면 진작 죽었을 공길이고, 공길을 다독이고 보호해 줬던 것도 장생이다. 그래서 공길은 장생을 사랑하지 않을 수 없다. 손목을 긋고 피를 흘리고 있는 공길을 보며 연산이 포효하듯 "왜!!!"하고 울부짖는데 연산의 감정이 고스란히 표현되어 먹먹하다. 어떻게든 공길을 옆에 두고 같이 살고 싶어 눈엣가시로 걸리적대는 장생을 없애버리고 공길을 옆에 두고 싶어 했지만 공길은 장생을 택한다. '진짜 맹인이 되고 나니 맹인 연기 한번 못해보고 죽네 그려'라는 장생의 말을 인형에 투영해서 그대로 읊은 뒤 죽음을 택한다. 연산은 그런 공길을 살리고 원하는 대로 해준다. 자신이 사랑하는 공길이 원하는 것을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들어주기로 한다. 밖에서는 반란모의가 한창이고 곧 반란군들이 들이닥칠 것이지만 생과 사의 기로에서 이들은 차분하게 마지막을 기다린다. 그 순간 연산군을 폐위하기 위해 반정군들이 들이닥친다. 장생과 공길은 다음 생에도 광대로 만나자고 약속하고 줄 위로 뛰어올라 공중으로 몸을 던지며 영화는 마무리된다.
등장인물
광대 장생 역 : 감우성 - 공길과 함께 한양으로 올라와 여러 공연을 펼치던 중 궁궐에 불려 가게 된다.
연산 역 : 정진영 - 자신의 마음에 들지 않는 것이 있으면 사람의 목슴까지 빼앗는 폭군이다.
장녹수 역 : 강성연 - 광대들 때문에 자신이 관심을 받지 못하는 것에 불쾌감을 드러낸다
광대 공길 역 : 이준기 - 수려한 외모를 가진 광대로 여러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는다
신하 처선 역 : 장항선 - 연산의 신하로 왕에게 직언을 하며 궂은 일을 도맡아 해오다 스스로 생을 마감한다.
광대 육갑 역 : 유해진, 광대 칠득 역 : 정석용, 광대 팔복 역 : 이승훈 - 장생 공길과 함께 놀이를 하는 광대들
국내 및 해외 반응
전반부에 다소 지루함이 느껴진 것은 궁에서의 스토리 이전 전개라 우울함이 있었던 이유 때문이지만 후반부 긴장감이 높아지는 내용이라 평론들이 대체적으로 양호하다. 작품은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짜인 스토리 전개가 다소 무거울 것이라는 선입견은 있었으나, 배우들이 보여준 훌륭한 연기력은 장점으로 크게 부각되었지 싶다. 먼저 폭군 역할을 맡은 정진영이 보여준 광기가 참 인상적이고, 자신 마음에 안 들면 그 누구든 죽여 버리는 모습들을 잘 표현한 것이 긴장감을 더 해주었다. 그리고 감우성은 담백한 연기력을 펼치며 안정적이라는 느낌을 주었고, 이준기는 신인이었음에도 완성도 높은 모습을 보였고, 그의 외모는 감탄을 자아낼 만큼 아름다웠다. 이렇듯 배우들이 보여준 비주얼과 연기력들이 인상적이었고, 시대극의 연출 대가다운 이준익 감독의 연출력도 매우 뛰어났다. 영상미 또란 호평을 받았고 OST음악도 심금을 울리는 선율로 많은 이에게 사랑을 받았던 훌륭한 작품이었다
수상내역 : 2006년 - 제5회 대한민국 영화대상(신인남우상), 제14회 춘사국제영화제(남우주연상, 남우조연상), 제42회 백상예술대상(영화 대상, 남자신인연기상), 제27회 청룡영화상(음악상, 인기스타상, 베스트 커플상),
제29회 황금촬영상 시상식(최우수 작품상, 촬영상-금상, 신인남우상), 제3회 맥스무비 최고의 영화상(최고의 감독상, 최고의 남자조연 배우상, 최고의 예고편상), 제43희 대증상 영화제(최우수작품상, 감독상, 시나리오상, 남우주연상, 남우조연상, 신인남자배우상, 촬영상, 남자인기상, 여자인기상, 해외인기상), 2007년 - 제9회 도빌아시아영화제(심사위원상)
'영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택시운전사 정보 및 줄거리 등장인물 국내 해외반응 (3) | 2023.11.08 |
---|---|
영화- 신과 함께 인과 연-정보 및 줄거리 등장인물 국내 해외반응 (0) | 2023.11.07 |
영화 광해 왕이된 남자 정보 및 줄거리 등장인물 국내 해외반응 (3) | 2023.11.06 |
영화 암살 정보 및 줄거리 등장인물 국내 해외반응 (5) | 2023.11.06 |
영화 7번방의 선물 정보 및 줄거리 등장인물 국내 해외반응 (0) | 2023.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