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자본획득 및 팀빌딩 운영 요약
사업초기에 아이디어나 아이템이 출중하다고 하더라도 초기자금이나 맨파워는 시작점에서 중요한 사항이다.
무자본창업이라는 것은 100% 존재하기도 힘들고 혼자 시작하면 그만큼의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초기자본의 조달방법은 스타트업 창업지원이 정부주도로 시행되고 있는 제도를 활용하거나, 투자유치를 통하여 지분참여 조건의 벤처캐피털, 엑셀러레이터 등을 활용하거나, 중진공이나 소진공의 장기저리 대출을 활용 방법은 빠른 시간 내에 사업의 기틀을 마련하고 안정적인 사업확장에 반드시 필요한 내용일 것이다.
초기자본획득 세가지와 팀빌딩 운영 두 가지 내용
◎ 정부지원사업
● 무자본창업은 100% 존재하지 않으며 유자본 창업의 경우 정부지원사업공고를 팔로워 하여 살펴보기를 추천한다.
● 다양한 지원책이 있는데 기준은
㉮ IT, AI, IOT, 바이오 등 기술적인 요소가 있는가?
㉯ 자영업 수준이 아닌 가치가 확산될 사업인가?
● 정부지원사업 수혜조건에 부합한 사업선정 가능성을 점치는 체크리스트
㉮ 팀원의 스펙이 상위권 또는 해외대학의 이력을 갖고 있는가? : 대표자 또는 팀원 인벌브 사항이 중요지표이다.
㉯ 큰 성과를 이룬 창업 경험이나 대기업 경험이 있는가? : 수행능력 판단기준
㉰ 비즈니스 모델 또는 기술적인 부분 등 확실한 차별점을 가졌는가?
㉱ 타 경쟁사가 벤치마킹하고 따라오기 어려운 진입장벽이 있는 사업인가?
* 심사위원 질문사항 : 특허나 시장선점효과를 가져가겠다는 부분 얘기, 팀원의 기술력이 압도적인 얘기
㉲ 글로벌 시장까지 확장 가능한 사업인가?
참고 정부사이트 https://www.k-startup.go.kr/ K-Startup 창업지원포털
◎ 투자유치 : VC(벤쳐캐피탈), 엑셀러레이터 등 지분투자금을 투자하여 성공을 돕고 가치가 확장될 때 지분회수
● 시드투자 받기위한 체크리스트
㉮ 팀원의 스펙이 상위권 또는 해외대학의 이력을 갖고 있는가? : 창업자가 어떤 사람인가?
㉯ 대기업이나 규모가 큰 스타트업 출신의 멤버가 있는 사업인가? : 실무역량이 있는가를 판단
㉰ 창업성과를 만든 창업경험 또는 수없이 창업을 실패해 본 경험이 있는 팀인가?
㉱ 하려는 사업에 핏이 맞는 사람인가?
㉲ 아이템의 시장성이 충분한가?
◎ 대출 :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제1금융권 은행, 보증기금
● 대출의 왜곡된 사고 "대출은 빚이니까 받으면 안 돼"라는 생각보다 빠르게 사업을 전개하기 위해 필요
● 아이디어나 아이템이 사업으로 전개되려면 대출을 받아 진행 : 경쟁자가 생겨 난항, 경쟁에서 도태, 빠른 성장 저해
● 내가 앞으로 벌 돈을 댕겨쓴다고 생각하라
● 소상공인 대출 이자 연리 2%대, 은행 3%대, 신용보증기금이나 기술보증기금 3%대
● 초기자본 많이 들어가는 것은 창업형 인간에 적합지 않음 -> 내공이 쌓인 이후에 유자본 창업 투자받는 것 추천
◎ 핵심 팀원을 찾고 팀빌딩하는 방법
● 단독창업보다는 공동창업이 좋은 이유는 단독창업은 많은 허들을 만나고 포기심리가 높음
● 팀원 찾는 방법
㉮ 자기 객관화 : 나 스스로가 어느 정도의 레벨인지를 파악하기
㉯ 동급레벨의 사람이나 조금 낮은 레벨의 사람을 선정하되 포텐셜이 있고 열정이 있는 사람을 선택
㉰ 오프라인 모임이나 콘퍼런스에 참여하여 유대관계 형성후 선택하는 것이 좋다
- 구인을 할 수 있는 사이트와 커뮤니티
크리에이트 클럽 - https://passionoil.kr/
문토 - https://www.munto.kr/
인사이터 - https://insight-er.com/
트레바리 - https://trevari.co.kr/
비긴메이트 - https://www.beginmate.com/
㉲ 가치입증을 위해 다양한 주제모임에서 네트워킹을 통해 같이할 수 있는 팀원을 찾는 게 이상적인 방법이다.
● 단점
㉮ 의사결정 시 다수의견을 반영하다 보면 시간이 많이 걸리고 감정소비 가능성이 높다
- 해결방법 : 가설 세우는데 의견 공유를 통해 시간을 줄인다. 가설 세울 때 네 의견 내 의견이 상존할때 네의견 먼저
검증하여 틀리면 내의견 검증해 보자 제안. 짧은 텀으로 반복해 보기
㉯ 팀원이 회사성장에 걸림돌이 될 가능성이 높다. 운 좋게 성장했을 시 팀원 개개인들이 성장되지 않는 경우 있다.
㉰ 팀 성장시스템 만들어가는 게 좋겠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 빠르게 의사결정해야 된다.
◎ 팀원 모두가 나처럼 일하게 하는 방법 : 접근동기, 회피동기, 넛지 등 세 가지 활용
● 접근동기를 활용하라 : 행복한 것을 추구하려는 욕구에 의해 생기는 동기로 회사 비전에 대한 많은 공유-> 성장 시 보상
● 회피동기를 활용하라 : 싫어하는 것을 피하려는 욕구로 생겨나는 동기로 타인으로부터 무능력한 사람으로 보이기
싫은 심리 활용.
● 접근동기는 장기적인 목표달성에 활용하고, 회피동기는 단기적인 목표달성에 활용하라
● 넛지기술을 활용하라 : 업무강요, 야근강요보다는 자발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넛지 방법을 활용하면 좋다
- 자율성을 부여하되 책임감을 갖도록 하는 심리적 인기술
※ 접근동기, 회피동기, 넛지기술을 활용하여 팀의 문화를 만들고 룰세팅을 한다면 나만큼 열심히 일하려고 하는 팀원들이 생길 것이다.
결론
초기창업자금조달의 방법은 창업초기의 유효한 전략이다. 정부지원금을 활용한다면 리스크와 스트레스에서 자유롭게 시간을 당겨 사업성공의 초석이 될 것이다. 투자유치나 대출도 적절하게 활용하면 빠른 사업성공이 가능할듯하다.
또한 단독창업보다는 공동창업이나 팀빌딩을 통하여 조기 사업성공이 이룩될 것이라 생각된다. 창업형 인간 되기의 원만한 마인드셋으로 제도적이고 팀워크가 발휘되는 사업성공의 기틀이 마련되기를 바란다.
'비즈니스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업형인간의 완성조건 요약 내용 결론 (1) | 2024.06.17 |
---|---|
창업형인간되기 가설세워 미리팔아보기 전략 (0) | 2024.06.15 |
창업형인간되기 위한 필수역량 2 (0) | 2024.06.14 |
창업형 인간되기 선행 챌린지 (0) | 2024.06.12 |
사내근로복지기금 기본구조 장단점 고려사항 활용방법 (0) | 2024.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