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화 이야기

영화 기생충 정보 및 줄거리 등장인물 국내 해외반응

by 그릿쌤 2023. 11. 16.
반응형

 

정보 및 줄거리

영화 "기생충"은 2019년 개봉한 봉준호 감독의 7번째 장편 영화이다. 상류층과 하류층, 두 가족의 만남을 다룬 대한민국의 블랙 코미디 가족 드라마 영화인데 서스펜스로 끝나는 장르를 넘나드는 최고의 영화이다. 여러 가지 사업에 도전했지만 실패한 아버지 김기택(송강호 분) 가정은 모두 백수로 살고 있지만 사이가 좋은 가정이다. 벌레가 기어 다니고 곰팡이가 피는 반지하 방에서 열악한 환경으로 살고 있고 가끔 가족 모두 피자 박스를 접어 돈을 벌기도 한다. 해머 던지기 육상선수출신 엄마 박충숙(장혜진 분), 명문대 지망 4 수생인 첫째 장남 김기우(최우식 분), 미대 지망생인 둘째 장녀 김기정(박소담 분)은 반지하 집에서 살아가는 백수 가족이다. 어느 날, 기우의 친구 민혁(박서준 분)이 찾아와 과외 아르바이트를 권하는데 외국 유학을 떠나는 자신을 대신해 박다혜(정지소 분)를 영어 과외 지도하기를 권한다. 다혜의 아버지 박동익(이선균 분)은 글로벌 IT 기업의 CEO로 굉장한 부자이고, 안주인 최연교(조여정 분), 어린 아들 다송(정현준 분)은 대저택에서 가정부 국문광(이정은 분)과 함께 생활하고 있다. 대학 재학 증명서를 위조한 기우는 민혁을 대신하여 영어과외를 시작하며 가족 사기극은 시작된다. 시범과외를 성공적으로 마친 기우는 과외비를 선불로 큰돈을 받게 되고 동익의 아들이 그린 남자 화상을 보고 사촌의 대학 후배 중에 일리노이 주립대를 졸업한 '제시카'라는 미술선생이라며 여동생 기정을 소개하여 다송의 미술치료 과외선생으로 고용된다. 연교는 기정을 박사장에게 소개하고 박사장은 그의 운전기사 윤기사(박근록 분)에게 "시간이 늦었으니 제시카 선생을 집에 데려다주라" 말한다. 기정은 지신의 팬티를 조수석 시트 밑에 숨기는 아이디어로 박사장 부부에게 의심받게 하여 해고되게 하고 자신의 아버지 기택을 추천하여 운전기사로 채용케 한다. 기우는 다혜로부터 가정부 문광이 복숭아 알레르기가 있다는 말을 듣게 되고 복숭아 털 가루를 문광에게 뿌리고 피자 핫소스를 휴지에 뿌려 피를 토한 것처럼 위장하여 연교에게 보이게 한다. 가정부 문광마저 결핵 가정부로 몰아 박사장네 집에서 해고당하게 한 후 어머니 충숙을 가정부로 고용토록 하여 온 가족이 박 사 장 네를 속이고 박 사 장 네 집안에 고용되어 일가족 사기단이 집안을 휘젓고 다니게 된다. 다송의 생일을 맞아 박사장네 가족이 다 같이 캠핑을 떠난 날, 이들 가족들은 제 집인 양 자유를 느끼며 목욕하고 술 마시며 저택의 분위기를 만끽하고 있을 때 초인종이 울린다. 천둥번개가 치고 비가 거세게 오는 날인데 예전의 가정부 문광이 비에 흠뻑 젖은 채 두고 간 물건이 있다며 집안에 들어오게 되고 문광은 지하실로 내려가 진열장을 밀고 있는 모습에 충숙은 돕게 된다. 밀려난 진열장 밑으로 숨겨진 문이 드러나며 지하 방공호 공간이 나타나는데 웬 낯선 남자가 숨어 있다. 사업 실패로 빚쟁이들에게 쫓기던 문광의 남편 오근세(박명훈 분)를 비밀리에 숨겨 놓고 살고 있었다. 문광이 갑자기 해고되어 떠나며 며칠을 굶게 된 남편에게 바나나와 우유를 먹이며 충숙에게 제발 박 사장 가족에게 알리지 말고 일주일에 한 번만이라도 남편에게 식사를 넣어 달라 간청한다. 고압적인 자세로 충숙은 경찰에 신고하겠다고 으름장을 놓고 있을 때, 기택네 가족은 이 모습을 몰래 엿듣고 있다가 기택이 발이 미끄러지면서 계단에서 굴러 떨어지는 과정에서 기우가 "아버지!"라 말하며 문광에게 목격되며 가족의 진실을 파악당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을 휴대폰 영상을 찍게 된 문광은 큰 약점을 쥐게 된 덕분에 전세가 역전이 되고 박 사장 가족에게 영상메시지를 보내 진상을 알리겠다 협박한다. 근세와 문광은 가족이 없을 때 거실로 올라와 지내던 때를 회상하며 제 집처럼 지내는데 기택네 가족은 빈틈을 노리고 휴대폰을 빼앗으려 몸싸움을 벌인다.  문광이 술병으로 기우와 기정의 머리를 가격하고 이에 기정은 복숭아를 꺼내 문광에게 문질러 알레르기를 일으킨 문광부부를 제압하는 데 성공한다. 이러한 난장판 상황에 전화벨이 울려 받게 된 충숙은 박 사 장 네 가족이 폭우로 캠핑장이 엉망이 되어 일정취소하고 도착한다는 내용에 문광부부를 방공호에 가두고 기택도 방공호에 숨게 되고 충숙만을 남기고 모두 숨는다. 알레르기로 기절했던 문광이 방공호를 탈출하여 거실로 올라오려 할 때 충숙은 문광을 걷어차 벽에 머리를 부딪힌 문광은 후유증으로 구토와 함께 변기 옆에 쓰러진다. 우여곡절 끝에 박 사 장 네 집에서 탈출한 기택, 기우, 기정은 집으로 향하지만 폭우로 잠긴 반지하방에서 기택은 필요한 물건만을 챙겨 수재민 긴급대피소에서 잠을 자게 된다. 다음 날 아침, 연교는 맑게 개인 날씨를 보며 다송의 생일파티를 계획하고 기정을 초대하고, 다혜는 기우도 초대하자고 연교의 허락을 받는다. 기우와 다혜는 딥키스로 서로의 사랑을 확인하지만 서로의 생각은 신분과 부의 차이에서 느끼는 이질감을 발견하게 되고, 연교와 기택은 장을 보려 외출하는 차 안에서 박 사 장 네 가족이 나누던 냄새에 대한 이야기 생각을 하게 되며 연교는 창문을 내리고 기택은 표정이 굳어진다. 파티를 준비하는 분주한 가운데 기우는 방공호로 내려가 변기옆에 쓰러진 문광을 살필 때 아내의 복수를 위해 나타난 근세는 기우를 묶고 수석으로 기우의 머리를 내려친다. 기우가 묶인 것을 풀어내고 도망가다 넘어지고 근세는 수석으로 기우를 두 차례 내려친 뒤 식칼을 들고 정원으로 가서 기정의 가슴을 찌르고 충숙은 쇠꼬챙이로 근세의 옆구리를 찌르고, 코를 틀어막는 박 사장을 본 기택은 표정이 굳어지며 식칼로 박 사장의 가슴을 찔러 즉사하게 한다. 기택은 도망을 하고, 나중에 차고를 통해 지하 방공호에 들어가 숨어 살게 되며, 모스 부호로 보내는 집 앞 전등의 깜박임으로 기우와 연락하게 되고 기우는 돈을 많이 벌어 집을 살 테니 그날이 올 때까지 건강하세요 라는 마지막 대사와 함께 영화가 끝난다. 이 영화는 경력격차와 사회 활동을 계속하며, 럭셔리 가족에 추가로 소형 가족의 이야기를 다룹니다.  "기생충"은 국제적으로도 큰 호응을 얻으며, 2020년 네 분야의 아카데미 상을 수상하면서 영광의 순간을 만들었습니다.    

등장인물

영화 '기생충'은 배우 송강호, 이선균, 조여정, 최우식 등이 주연으로 참여했고, 스토리와 연기가 여러 국가에서 큰 관심을 끌었습니다.  봉준호 감독의 연출로 김기택 역 송강호, 박동익 역 이선균, 최연교 역 조여정, 박충숙 역 장혜진, 김기우 역 최우식, 김기정 역 박소담, 국문광 역 이정은, 오근세 역 박명훈, 윤기사 역 박근록, 박다혜 역 정지소, 다송 역 정현준, 민혁 역 박서준, JTBC남기자 역 서복현, JTBC여기자 역 심수미, 피자사장 역 정이서, 길거리 시비남 1 역 안성봉, 피자남자 역 조재명, 취객 1 역 김규백, 첼리스트 역 김보령, 이웃주민 역 정익한, 파티여 3 역 이상경, 파티 인원 역 정유하, 파티남 1 역 김정우, 파티남 3 역 이주형, 파티여 2 역 이루아, 마트캐셔 역 전은미. 

국내 해외반응

네티즌 평점은 네이버 8.49/10, 다음 7.9/10, 관람객 9.07/10, 기자 평론가는 9.06/10 등 대체적으로 높은 편이고 매체 주관 평점은 IMDb 8.5/10, 로튼 토마토 비평가 98% 유저 90%, 키노라이츠 좋아요 96%, 레터 박스 별점 4.6개/5개, 왓챠 피디아 별점 4.3개/5개, 또우반 평가지수 120만 명 8.8/10으로 국내 평점은 높지 않은 반면 해외 평점은 높은 반응입니다. 수상내역을 보면 해외 수상이 화려합니다. 주요 해외 영화제의 주요 부분에서 석권하다시피 좋은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2021년 44회 일본 아카데미상(우수 외국작품상), 40회 황금촬영상 시상식(최우수 작품상, 촬영상-금상, 연기대상, 영화발전 공로상), 2020년 14회 아시아 필름 어워즈(최우수작품상, 최우수 각본상, 최우수 제작디자인상, 최우수 편집상), 25회 춘사국제영화제(백학상), 56회 백상예술대상(영화 대상, 영화 작품상, 영화 남자신인연기상), 56회 대종상 영화제(최우수작품상, 감독상, 시나리오상, 여우조연상, 음악상), 45회 세자르영화제(외국어영화상), 92회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국제장편영화상), 73회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각본상, 외국어영화상), 72회 미국 작가 조합상(각본상), 40회 런던 비평가 협회상(작품상, 감독상), 26회 미국 배우 조합상(영화부문 앙상블상), 49회 로테르담 국제영화제(관객상), 35회 산타바바라 국제영화제(감독상), 25회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감독상, 외국어 영화상), 77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외국어 영화상), 31회 팜스프링스 국제영화제(국제비평가협회(FIPRESCI) 각본상), 54회 전미 비평가 협회상(작품상, 각본상), 20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여자연기자상), 2019년 32회 시카고 비평가 협회상(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외국어영화상), 19회 디렉터스 컷 어워즈(올해의 감독상, 올해의 각본상, 올해의 남자배우상, 올해의 새로운 남자배우상), 45회 LA 비평가 협회상(작품상, 감독상, 남우조연상 4회 뉴욕 비평가 협회상(외국영화상), 40회 청룡영화상(최우수 작품상, 감독상, 여우주연상, 여우조연상, 미술상), 13회 아시아 태평양 스크린 어워드(최우수 작품상), 39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최우수 작품상, 감독상, 촬영상, 영평 10선), 28회 38회 밴쿠버국제영화제(관객상), 부일영화상(최우수 작품상, 남우 조연상, 여우 조연상, 각본상, 촬영상, 음악상), 15회 제천국제음악영화제(올해의 영화인), 44회 토론토국제영화제(관객상-세컨드), 15회 유라시아 국제영화제(감독상), 24회 춘사국제영화제(최우수감독상, 각본상, 여우주연상, 여우조연상), 72회 칸영화제(황금종려상), 66회 시드니 영화제(작품상).

반응형